마18:35 용서...
마태복음18:35
"너희가 각각 마음으로부터 형제를 용서하지 아니하면 나의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시리라"
마음으로부터.
베드로가 주님께 한 질문(21, 22절)의 문제점은, 그가 말한 용서는 마음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라 행함으로 의를 얻으려는 생각에 기초한, 너무나도 형식적이고 율법적인 “용서”라는 점이다.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에 의해 유발된, 인간의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순종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개념을 베드로가 이해하기는 얼마나 어려웠던가! 이로써 베드로의 질문(21절)에 대한 예수의 대답이 종결되었으며, 또한 “천국에서 누가 크니이까?”라는 질문(1절)에도 간접적으로 답이 된다. 가장 “큰” 자는 하늘 아버지의 자비를 “중심”으로부터 반사하며 그의 동료들에게 “이와 같이” 행하는 자이다.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동료들을 대할 때 가늠할 수 있는 품성의 진정한 척도이다.
예수가 산상 설교에서 여러 번 강조하여 천명한 것처럼, 행위의 성격을 결정하는 것은 바로 그것을 유발시킨 동기이다. 사람들에게 존경을 얻을 목적으로 행하는 겉치레적인 선한 행위는 하늘이 보기에는 아무런 가치가 없다(6:1~7). 용서하는 말도 중요하지만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근본적인 중요성은 거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용서하는 말에 충만한 의미를 더해주는 마음자세에 있으며, 이것이 없으면 용서하는 말은 의미가 없다. 진실하지 못한 목적과 상황에 따라 행하는 가식적인 용서는 그 일에 연관된 사람을 속일 수 있을지는 모르나 사람의 중심을 보시는 그분을 속이지는 못한다(삼상 16:7). 진실한 용서는 그리스도인 완전의 중요한 국면을 이룬다(참조 5:48 주석).
이와 같이.
다른 이들을 용서하기를 거절한 자들은 그것 때문에 용서받고자 하는 자신의 희망도 버리는 자들이다. 여기에 이 비유의 위대한 교훈이 있다-동료 인간들을 향한 인간의 냉혹함과 무자비함과,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오래 참으심과 자비의 극명한 대조. 다른 이들을 책망하거나 우리의 “정당한 요구”를 그들에게 강요하기에 앞서, 먼저 하나님께서 유사한 상황에서 우리를 어떻게 대하셨으며 만약 상황이 반전된다면 다른 이들이 우리를 어떻게 대하기를 원하는지 심사숙고해야만 한다(참조 6:12, 14, 15 주석).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무한하신 자비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는 다른 이들에게 이와 같이 자비를 나타내야만 한다.(성경주석)
용서......
살면서 나는 누군가에게
사기를 당한 적도 없고
돈을 꿔주고 못 받은 일도 없고
상해를 입은 적도 없고
억울한 누명을 쓴 일도 없다.
그래서 크게 누군가를 용서할 일이
겉으로는 거의 없다.
다만 나에게 있어서
누군가를 용서하느냐 마느냐는
항상 감정적인 상해에 관한 문제였다.
어릴 적부터 감정적으로, 정서적으로
늘 나를 불안하게 하고 무섭게 했던,
가까운 존재 때문에 나는
정서적으로 불안하게 성장했다.
그 감정적인 상해에 대한 피해의식이
오랜 세월 나를 괴롭혔고 지금도 그렇다.
그래서 누군가는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나는 스스로 상처를 잘 입고
그 대상을 원망하고 미워하면서
용서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곤 했다.
죄의 실체가 어떤 것인지
평생 배우고 들었으면서도
자꾸 잊고 자꾸 무디어져서
내가 하나님께 어떤 용서를 받았는지는
실감하지 못한 채
나는 그저 내 상처에만 집중하면서
사람들을 용서하지 못하고 사는 것 같다.
어쩌면 내 모습도 마태복음 18장에 나오는,
엄청난 빚을 탕감 받고도
자기한테 빚진 자는 옥에 가둔
그 어리석은 관원의 모습과 유사한지 모르겠다.
도대체 언제쯤이면 나는
나 자신을 좀 잊을 수 있을까.
언제쯤 나는 나를 변호하고
철저하게 방어만 하는 삶을 그만둘 수 있을까..
진짜 용서란 무엇일까..
언제쯤 나는 내게 감정적으로
상해를 준 사람들을 제대로 용서할 수 있을까..
예수님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
베드로처럼, 제자들처럼,
어리석은 질문을 하면서,
그렇더라도 온전한 답을 제시해 주시는
주님의 답을 들으면서
그렇게 깨닫고 알고 사고를 바꿀 수 있으면 좋겠다.
예수님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하늘의 생각이 필요합니다.
단순하고도 투명하고 밝고 유쾌하게
해야할 일을 하고 싶습니다.
짧은 인생, 그렇게 살다 가기를 소원합니다.
도와 주세요.
가족 동행들...사람들 위해 기도합니다.